2022년 2학기에 전교원을 대상으로 카카오워크를 도입했다.

 

기존에 google chat, Slack, Mattermost, Discord, Teams, 네이버웍스, 잔디 등을 비교 분석했다.

 

일단 비용문제가 컸다. 매년 비용이 지출되는데 기존에 쓰던 카톡은 무료인데, 경기도 메신저는 무료인데 왜 써야 하냐고 하면 답이 안나왔다.

 

그래서 유료서비스는 전부 탈락

 

물론 mattermost는 서버에 올리는 community 버전을 쓰면 되지만, 그 서버는 또 어떻게 감당하고 용량 문제도 있어서 pass

 

Discord하고 teams , google chat만 후보에 올랐으나, discord도 서버부스트를 구매해야해서 탈락.

 

결론은 google chat과 teams만 남았었다.

 

업무메신저를 폐쇄적이어야 하는데, teams, google chat은 조금 개방적이고, 사용하기 조금 불편했다.

 

뭔가 교사 대상 연수를 이것저것 해야할 확률이 높아보였다.

 

그때 마침 카카오워크가 교육용으로 무료로 공급된다는 소식에 도입하게 되었다. 이미 카카오톡에 익숙하여 심리적 진입장벽이 낮았다. 지난 6개월 사용해보니 다음과 같은 장점과 단점이 있었다.

 

1. 장점

 - 카카오톡에 대한 익숙함.

 - 개인 카카오톡 이모티콘과 연동가능

 - 사생활과 업무의 분리 (이건 업무용 메신저의 장점이지만, 이 피드백이 좀 있었다. 다들 카톡 폭탄에 머리가..)

 - 메세지 검색기능

 - PC카톡 처럼 메세지가 끊기거나 파일, 사진의 다운로드 유효기간이 없다.

 - 넓은 PC용 인터페이스(처음에는 카톡처럼 세로로 긴 형태였는데, 가로로 기니까 시인성이 좋다)

 - 사용자 식별가능(카톡은 전화번호가 없으면 본인이 설정한 프로필로 나와서 별명으로 이름이 보인다)

 - 정해진 시간동안 알림 끄기 모드 (업무 집중이나 수업시간에 사용하면 유용하다)

 - 조직도 : 몇개 부서를 모아서 채팅방을 만들어야 할때 일일이 사용자를 누르지 않고, 1학년부 클릭, 2학년부 클릭 하면 소속된 모든 사람이 채팅방에 초대가 된다.

 - 새로운 멤버 초대시 기존 메세지를 읽을 수 있다. 만약에 중간에 누군가 채팅방에 초대하면 기존 메세지를 전부 확인할 수 있다. 그러면 새로운 사람은 기존에 있었던 토론이나 작년에 어떻게 일이 진행되었는지 알수 있다.

 - 퇴사자 처리 가능: 퇴사자가 생기면 카톡방을 새로파서 정보가 전부 날라갔는데, 이제는 관리자가 채팅방에서 내보낼 수 있다.

 - 할일 기능 : 특정 사용자에게 할일을 부여할 수 있다.

 - 워크보드 기능: 기존에는 카톡에서 채팅방마다 게시판을 확인해야 했는데, 전체 게시판이 생겨서 채팅방과 상관없이 게시판을 관리 할 수 있다.

 - 인공지능 봇 캐스퍼 : 캐스퍼에서 DB를 구축해주면 인공지능이 답변을 해준다. 예를 들면 캐스퍼 000선생님 내선번호가 몇번이지? 이런 질문이 가능하다.

 

2. 단점

 - 예약 전송 기능 부재 : 카카오톡에서는 메세지 예약 전송 기능이 있는데, 카카오워크는 아직 개발되지 않았다.

 - 캘린더 알람이 앱에서 지원되지 않는다. : 향후 개발될 거라고 한다.

 - 할일에서 D-day 설정시 알람이 지원되지 않는다. : 향후 개발하시겠...죠?

 - 투표 기능을 쓰면 웹페이지로 들어간다. 카카오톡 만큼 다양한 투표가 안된다.

 - 인공지능봇 캐스퍼가 알림기능을 지원하지 않는다. slack bot 처럼 reminder 기능이 있으면 좋겠다.

 - 다양한 3rd-party custom bot 이 있으면 좋겠다. slack은 birthday bot을 연동하면 모든 사람에게 개인메세지를 보내서 생일을 수합하고, 생일 1~2일 전에 당사자를 제외한 사람들에게 000가 생일이니 선물을 준비해보지 않겠냐고 한다. 그리고 당일이 되면 birthday bot이 요란을 떨면서 생일을 축하해 준다. 지금 우리학교는 누군가가 업무로 그 일을 하고 있다. 고급 인력의 낭비라고 생각한다. ㅠㅠ

 - 단체 채팅방과 개인채팅방의 분리 부재, discord나 slack을 보면 단체채팅방과 개인채팅방을 구별하여 배치해주는데 이건 섞여 있다.

 - 채팅방 순서를 내맘대로 바꿀 수 없다. 

 - 읽지 않는 메세지가 있는 채팅방 bold 효과가 있으면 좋겠다. slack에서는 내가 정한 채팅방 순서가 a,b,c,d,e 순이면 d방에 새로운 메시지가 오면 순서가 d,a,b,c,d로 바뀌고, 메세지를 다 읽으면 a,b,c,d,e로 변경된다.

 - 카카오워크 태블릿PC 버전이 없다. 

 - 휴대폰에서 푸쉬알림이 올 때, 클릭을 하면 효과가 없다.

 

모든 학교가 경기도 메신저, sen 메신저를 쓰지만, 다들 카톡방이 하나씩 있다. 결국 모바일을 지원하지 않으면 하나 채팅방을 파야한다. 기존에 쪽지 폭탄에 머리가 아프다면 카카오워크를 고민해보세요.

 

혹시 관련하여 연수가 필요하시면

 

카카오톡 repairer5812 나

이메일 repairer5812@naver.com 으로 연락주세요!

이전 글에서 학교에서 업무메신저에 변화가 필요한 이유를 썼으니 그럼 그 중에 왜 카카오 메신저를 선택했는지 이야기해보려고 한다. 

 

1. 다중기기를 지원 문제

 우리 학교서도 업무용 카톡방이 넘쳐나면서 젊은 교사를 중심으로 불편함을 이야기 한 경우가 많았다.

 코로나로 온라인 수업을 하다보니, 노트북+태블릿+데스크탑을 번갈아가며 혹은 동시에 쓰는 경우가 많았다.

 노트북 + 데스크탑에 동시에 접속 불가능: 양쪽에 메신저를 로그인하고 파일 전송이 필요할때 메신저로 전송하면 꿀.

 

 2. 카카오톡은 모바일에는 모든 대화가 보이지만 PC에서는 지난 대화가 끊겨서 보이지 않는다. 카카오 워크는 다 보임!

 3. 카카오톡은 파일, 사진의 저장기간 만료된다. 카카오워크는 시간적 제한이 없다.

 4. 채팅방 이름이 중구난방이다. 카카오워크는 방장이 이름을 정한다!

2017년 기준에 만든 방이름을 여전히 그대로 쓰고 있다.

  물론 채팅방 이름을 바꿀 수 있지만, 누구는 A라고 이름을 바꾸고 누구는 B라고 이름을 바꾸면 통일성이 없어 업무할때   번거롭다. 예를 들면, 회의결과를 전체중등교사방에 올리겠습니다. 라고 말하지만 누군가에게는 2017중등샘 방이다.

 

 5. 휴대폰번호가 없으면 누가 누군지 모른다. 카카오워크는 프로필에 개인연락처를 적을 수 있다!

나는 아직도 모든 교직원의 전화번호가 없다.

그래서 사진과 같은 문제가 발생했다.

프로필을 누르면 이름, 직함, 내선번호, 이메일 + 휴대폰번호 정도는 떠야하지 않는가?

맨날 내선번호 표 보고 있고, 휴대폰 번호 몰라서 여기저기 묻기....ㅣ아;러망

 

 

 

 

 

 6. 가격이 무료이고 엔터프라이즈급 기능을 쓸 수 있다.

 기능은 Slack이 가장 좋다. 그런데 가격이 너무 비싸다. MS 팀즈를 쓰는 곳도 많다고 들었는데, 개인적으로 인터페이스가 약간 불편하다고 느꼈다. 그래서 사실 Slack의 alternative 프로그램인 Mattermost를 쓰고 싶었다. 서버에 설치하면 무료로 사용이 가능하지만, 서버 관리가 하려면 배보다 배꼽이 더 커서 Cloud 버전을 사용하려고 했다. Discord도 무료인줄 알았으나, 제대로 사용하려면 Nitro 버전을 써야하고 대략 연간 100달러 정도 비용이 든다. 

서비스 가격(1년-50명 기준) 유/무료 용량제한 별점
Slack(슬랙) 420만원 유료 무제한 ★★★★★
Mattermost
(매러모스트)
18만원 유료 무제한 ★★★★☆
네이버웍스 180만원 유료 150G ★★★☆
카카오워크 0원 무료 1인당 1TB ★★★
MS 팀즈 0원 무료 100G ★★★★
잔디 300만원 유료 500G ★★★★★
Discord 0원 무료 무제한 ★★★★☆

사실 2021년까지만 해도 카카오워크는 교육용으로 무료제공되지 않았고, 기능이 없는 것이 꽤 있었다. 그러나 점점 기능 좋아져 별점이 올라갔다.

 

3. 카카오톡과 유사하다.

 Mattermost를 쓰려다가 포기한 이유 중에 하나이다. 한글을 100% 지원하지 않고, /(slash) 기능을 이용한 명령어 기반이 많아서 교사 집단에게는 어렵다는 생각이 들었다. 개인 카카오톡과 연결해서 이모티콘을 가지고와서 그래도 사용할 수 있다는 점도 마음에 들었다.

 

4. 계속 기능이 업데이트 되고 있다.

 장기적으로 봤을 때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처음에는 게시판 기능도 없었는데 생겼고, 음성 채팅기능도 생겼다. 소프트웨어 서비스는 개인적으로 개발보다 유지보수가 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카카오 엔터프라이즈에서 카카오워크를 더 투자를 진행하는 것 같다. 기능 업데이트가 빠르다.

 

그리하여 카카오워크 도입을 결정하고 세팅을 하기 시작했다. 이 부분은 다음 글에 남기겠다.

 

 

 

학교에서 카카오 메신저를 도입해야 하는 이유#1

"관련 내용 쿨 보내겠습니다." 서울에 있는 사립학교 근무 당시 항상 듣던 말이다. "어디서 만날지 카톡할께~"라는 이야기처럼, 교사들은 쿨을 보낸다는 말을 쓴다. 경기도는 경기도메신저, 서울

repairer5812.tistory.com

 

 

'학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카오 메신저 도입기#3  (0) 2022.09.10
카카오 메신저 도입기#2  (0) 2022.09.10
카카오 메신저 도입기#1  (0) 2022.08.19
학교에서 카카오 메신저를 도입해야 하는 이유#1  (0) 2022.08.19
방학 없는 학교  (0) 2020.07.14

+ Recent posts